본문 바로가기
knowledge & news

냉장고 아버지-제임스 해리슨

by 40대 아재 2023. 7. 9.
반응형

냉장고 아버지 '제임스 해리슨'은

스코틀랜드의 가난한 인쇄공이었습니다.

세계최초로 기계식 냉장고를 만들어서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냉장고로 이어진

제임스 해리슨의 냉장고 발명과 여러 이야기를

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40대 중년아재입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냉장고가 없는 세상을 상상할 수 있을까요?

맛있는 음식이 상하고, 시원한 음료와

아이스크림등은 세상에 없을 것입니다.

인류의 가장 혁신적인 기술로 평가받는 

냉장기술로 만들어진 냉장고에 대한 이야기를

지금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제임스 해리슨이 만든 에테르를 이용한 냉장장치

 

스코틀랜드의 가난한 인쇄공이었던 

'제임스 해리슨'은 당시 잉크를 제거하기 위해

'에테르'라는 약품을 매일 사용했습니다.

에테르는 알코올의 일종인데요.

제임스 해리슨을 포함한 인쇄공들은 만지면

너무 차가운 에테르를 기피했습니다.

모두가 싫어했죠.

이때 제임스 해리슨은 다른 인쇄공과 다른

궁금한 점이 생기게 됩니다.

그건 바로 '에테르가 주위의 열을 빼앗아

차갑게 만든다'는 것이었습니다.

 

 

 

제임스 해리슨은 가난한 환경으로 제대로

교육을 받지 못해서 냉장기술이나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실패를 하게 됩니다.

하지만, 제임스 해리슨은 포기를 하지 않죠.

이미 기화한 에테르를 다시 액체로 돌리는

기술을 연구하던 중 기체에 압력을 주면,

액체로 바뀔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이게 바로 냉장고의 핵심기술이라고 하는

컴프레서를 개발하는데 성공을 하게 됩니다.

 

석빙고 내부 사진

 

인류는 얼음을 굉장히 소중하고 값비싼 것으로

인식하고 얼음을 보관하고 얻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왔습니다.

무려 3,700년 전 시리아의 고대 도시 '마리'의

군주였던 '짐리림'이 기원전 1,700년 경에

유프라테스 강 근처의 얼음집을 짓고 그곳에

얼음을 보관했다는 기록이 남아있고,

한국에서는 삼국유사에 서기 1세기에

신라 3대 왕인 유리왕 때 얼음창고를 지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그리고 서기 505년 지증왕 6년에도 얼음창고를

관리하는 '빙고전'이란 관청을 뒀다는 기록도 있죠.

 

20세기 초 미국에서는 아이스박스로 미국의

상징으로 보는 국력의 우월함을 보였습니다.

가정용 냉장고는 프랑스의 수도사인

'아베 마르셀 오디프렌'이 와인을 시원하게 

보관하기 위해서 만들었지만, 당시에는

이산화황을 이용해서 만들었고, 전기를 이용하는

지금의 냉장고는 1911년에 우리가 'GE'라고 

알고 있는 제너럴일렉트릭에서 특허를 얻어서

가정용 냉장고를 만들게 됩니다.

이때 냉장고는 당시 자동차보다 2배가 비싼

금액으로 판매가 되었다고 합니다.

 

냉장고의 아버지인 스코틀랜드의 제임스 해리슨

 

기계식 냉장고를 발명한 제임스 해리슨은

1862년 국제박람회에서 최초로 전시를 하면서

그때부터 '냉장고의 아버지'라는

이름으로 불립니다.

이후 그의 냉장고는 미국이 그 뒤를 이어 

1913년 '프레드 울프 주니어'가

'최초의 전기냉장고'를 개발을 하게 되고,

이듬해인 1914년에는'너새니얼 브래킷 웨일즈'는

상용 가능한 냉장고 모델을 만들게 됩니다.

그리고 마침내 1916년 '엘프리드 멜로우즈'는

현재의 냉장고와 유사한 형태의 냉장고를 

고안하고 판매를 시작하게 됩니다.

 

1918년 켈비네이터 가정용 냉장고 사진

 

가정용 냉장고가 본격적으로 판매가 된 것은

1918년 미국 켈비네이터에 의해서 시작됐는데,

높은 가격과 고장으로 판매율은 좋지 못했죠.

이후 제너럴일렉트릭(GE) 사가

이 문제를 해결하고, 가정용 냉장고의

판매가 붐을 타게 됩니다.

그리고 지금 우리 곁에 있는 냉장고까지 기술과

디자인이 혁신적으로 발전되어 편리하고

시원한 음식을 우리에게 주고 있는 냉장고가

되었습니다.

 

가난하고 평범했던 인쇄공이었던 제임스 해리슨이

계속되는 실패와 좌절로 기계식 냉장고를

만드는 것을 포기를 했다면 지금의 모습은

많이 바뀌어 있을 겁니다.

편리하고 현대생활에 없어서는 안 되는 냉장고가

누가 만들었고,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알아봤는데요.

예전에는 왕이나 신분이 높은 사람만이 가졌던

그 모든 혜택을 누구나 누릴 수 있게 해 준

냉장고에게 감사한 생각이 듭니다.

 

-끝-

 

 

 

 

 

 

 

반응형

'knowledge &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반기부터 시행되는 정책들  (4) 2023.07.11
삼복-초복,중복,말복 유래  (5) 2023.07.10
다리미와 다리미판  (5) 2023.07.08
엄마아빠 행복 프로젝트  (3) 2023.07.07
산에서 멧돼지를 만나면?  (4) 2023.07.0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