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nowledge & news

눈에 대한 잘못된 상식들

by 40대 아재 2023. 5. 21.
반응형

예전부터 사람몸이 100냥이면 눈은 90냥으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신체부위 중

눈은 우리에게 굉장히 중요한 것이죠.

수많은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는 현재에도

눈에 대한 잘못된 상식들로 눈을 오히려

더 나쁜 상태로 만들기도 하는데요.

오늘은 우리 신체부위 중 눈에 대한

잘못된 상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40대 중년아재 입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환절기나 봄이 되면 각종 알레르기나

건조한 공기와 날씨등으로 안과를 찾는

분들이 많이 늘어나기도 합니다.

눈은 선조들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신체부위로 여기고 살아왔습니다.

사실 보이지 않는다면 많은 것을

포기해야 하는 것이 사실이죠.

그런데 이렇게 소중한 눈에 대해서

잘못된 상식으로 인해 오히려 눈건강을

망치거나 나쁘게 하는 일이 있곤 합니다.

눈에 대한 잘못된 상식에 대해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안약을 넣은 후 눈을 깜빡거려야 한다?

 

안약 넣는 그림

 

잘못된 상식입니다.

안약을 넣은 후에는 약물이 오랫동안 안구에

접촉할 수 잇도록 3~5분 정도 살짝 눌러주거나,

가장 손쉬운 방법으로는 가만히 눈을 감고

있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지금까지 잘못 알고 있었던 눈을 깜빡이게 되면,

약물이 눈 밖으로 흘러나가는 경우가 많고,

코로 들어가는 경우가 생깁니다.

이때 약물이 혈관으로 흡수가 되는데요.

전신부작용 또는 입에서 쓴맛이 나게 됩니다.

이제부터는 안구건조에 넣는 인공눈물이나,

안약을 넣은 후에는 눈을 감고 가만히 3~5분간

있는 것으로 해야겠습니다.

 

 

 

 

 

2. 안경 쓴 안과의사 선생님?

 

라식이나 라섹등의 시력교정술을 위해

안과를 가게 되면 안경을 쓴 의사선생님을

종종 만나게 되는 일이 생깁니다.

이때 드는 생각이 라식이나 라섹을 해서

좋은 결과와 건강에 문제가 없다면 

안과의사는 왜 그걸 하지 않고 안경을 쓰지?

라고 생각이나 말을 하곤 하죠.

그러면서 라식이나 라섹등에 대해서 괜히

하는 건 아닌지 생각도 하곤 합니다.

그런데 의사선생님도 사람이기 때문에

각막이 너무 얇거나 다른 질환등의 이유로

시력교정술이 불가능한 안과의사도 있는 거죠.

직접 물어볼 필요는 없겠지만,

안경을 쓴 안과의사도 그런 부분은 의식을 하고,

그런 질문을 하는 분이 있다면 친절히 대답을

해주실 껍니다.

 

 

3. 안경을 오래끼면 눈이 튀어나온다?

 

눈이 튀어나오는 그림

 

잘못된 상식입니다.

안경을 오래쓰거나 쓰게되면 눈이 튀어나온다는

잘못된 상식이 있는데요.

사실 사람의 안구는 초등학생 저학년인

10살 전후에 성장을 멈추게 됩니다.

그런데 이때 근시가 있는 사람들은 안구가

성장을 멈추지 않고 계속 진행을 합니다.

이 원인으로 안구가 길어지게 되는데,

눈동자는 큰 변화가 없지만, 흰 자위가 늘어나며,

눈이 살짝 튀어나오게 보이게 됩니다.

결론적으로 근시가 있는 사람이 정상인보다

약 0.3cm 더 자라면서 튀어나오는 건 사실이지만,

안경을 쓰거나 쓰지 않는다고 해서 누구나가

눈이 튀어나오는 일은 잘못된 상식입니다.

 

 

4. 눈에 이물질이 들어가면 입으로 분다?

 

어릴적부터 눈에 뭐가 들어갔다고 말을하면,

보통은 부모님이나 어른들이 눈에 입으로 힘껏

바람을 불어 빼주는 행동은 너무도 익숙하죠.

하지만, 이 행동은 잘못된 행동입니다.

오히려 입안의 침이 튀면서 안구에 2차 감염이

발생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입으로 부는 바람으로

눈에 있는 이물질이 빠지는 경우는 거의 없죠.

눈에 이물질이 들어갔을 경우에는 깨끗한 물로

눈을 행군다음 안과로 가는 것이 최선입니다.

 

 

5. 소금물이 눈에 좋다?

 

잘못된 상식입니다.

소금으로 눈을 행구는 경우에는 소금 자체가

멸균이 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오히려 

세균감염을 일으키게 됩니다.

오히려 눈에 해로운 결과가 나타나죠.

또한 소금의 입자는 안구를 상하게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안약을 처방 받는 것이 맞습니다.

여름철 해수욕장에서 수영안경 없이 물속에서

눈을 뜨거나 오래 바닷물속에 눈을 노출하면

굉장히 따갑고 안구에 세균이 감염이 되어서

여러가지 안구질환을 일으키기도 하죠.

 

 

6. 약시도 라식수술로 좋아진다?

 

라식수술 설명 그림

 

약시는 사실 기능적인 것이기 때문에시력교정술인 라식수술을 받아도 교정시력은나이지지 않습니다.일반적으로 약시는 나이가 어릴 때 치료를받을 수록 효과가 있다는 것이 사실이죠.

 

 

7. 나이가 먹을 수록 눈은 나빠진다?

 

나이가 먹어서 눈이 나빠지는 것은 아닙니다.

안구의 굴절이상이 문제인 것이죠.

흔히 노안, 근시를 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근시가 오는 경우는 굴절성 근시, 축성근시가

대표적인 것들인데요.

대부분 안구가 길어지면서 발생합니다.

아이들은 성장을 하기 때문에 안구도 성장해서

근시가 진행이 됩니다. 보통 10대 후반인

고등학생까지는 근시가 진행을 합니다.

이후 성인이 되면 성장이 멈추기 때문에

근시의 진행도 멈춰버리기 때문에

눈이 더 이상 나빠지는 것은 아닙니다.

 

 

8. 눈을 깜빡이는 것은 좋지 않다?

 

눈을 깜빡이는 이유는 눈이 건조하지 않게

마르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다시말해 눈에 좋은 행위인거죠.

눈을 깜박거리지 않게되면 안구가 마르고

충혈이 되어서 심각한 안구질환이 될 수 있죠.

무의식적으로 또는 의식적으로도 깜빡이는게

안구에 좋은 것은 사실입니다.

눈을 깜박이는 이유는 이러한 이유도 있지만,심리적인 이유로 깜박거리는 이유도 있습니다.

 

 

9. 어두운 곳에서 책을 보면 눈이 나빠진다?

 

너무 밝은 빛은 눈에 엄청난 피로도를 줍니다.

 

굉장히 많은 분들이 의아하게 생각하실지도

모르는 항목이기도 한데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어두운 환경과 시력은

특별한 연관이 없는것이 사실입니다.

눈의 시력과 질환은 다른 의미입니다.

적당히 밝은 곳에서 책을 보게 되면,

그만큼 눈의 피로를 감소 시켜주는

효과가 있기는 합니다.

요즘 스마트폰이나 PC,TV는 어떨까요?

이 부분은 거리와도 상당히 연관이 있는데요.

TV를 가까이 봐서 눈이 나빠지는게 아닙니다.

눈이 나쁘기 때문에 TV를 가까이 보는 것이죠.

실제로 TV를 가까이서 보는 아이들의 시력을

안과에 가서 검사를 해보면 근시가 많습니다.

근시는 성장과 함께 계속 진행이 되는데요.

TV를 보는 거리보다 중요한게 있습니다.

스마트폰이나 TV,PC등이 시력을 나쁘게

한다는 것보다, 화면이 너무 밝거나

빛이 반사되면 눈이 일반적인 상황보다

굉장히 많은 피로도받기 때문에

여러 안구질환이 오는 것이죠.

시력과 안구질환은 다른 의미입니다.

다시 말해서 빛이 너무 강하거나 밝은

스마트폰이나, PC,TV는 분명 눈에 좋지않은

질환을 유발하는 것은 분명한 사실입니다.

 

오늘은 우리가 일상에서 알고 있는 

눈에 대한 잘못된 상식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몸에 소중하지 않은 신체부위는 없겠지만,

몸 100냥에 눈 90냥이라고 했을 정도의

소중한 우리의 눈을 위해서 잘못된 상식은 버리고,

올바른 지식과 상식으로 눈 건강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이 됩니다.

 

-끝-

반응형

'knowledge &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회루 흥청망청 유래  (4) 2023.05.23
영유아 보육료 지원제도  (10) 2023.05.22
매년 환급-꼭 확인하세요!  (6) 2023.05.20
층간소음 갈등 정부 무료 지원  (9) 2023.05.19
근로자 융자지원-근로복지공단  (18) 2023.05.1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