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지식대상'은 2012년 1회를 시작으로
올해로 12번째가 되는 행사입니다.
8회까지는 행정안전부와 매일경제가 함께
공동으로 주최를 했고, 9회인 2020년부터는
행정안전부가 주최를 하고 매경이 후원을 하는
지식행정·지식경영을 통해 성과를 낸 기관을
찾아서 시상을 하는 행사입니다.
오늘은 12번째가 되는 2023 대한민국 지식대상
에 대한 포스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40대 중년아재입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 대한민국 지식대상
▲ 개요
1. 목적
지식행정 및 지식경영을 통해 정부혁신과
기업경쟁력 향상에 높은 성과를 낸 기관들을
찾아 시상하고, 그 성과를 확산하기 위함입니다.
2. 운영
행정안전부 주최와 매일경제 후원으로 진행합니다.
3. 공모대상
1) 행정기관의 지식행정 성과
2) 공공기관·지방공기업, 민간기업의
지식경영 성과
4. 공모내용(지식관리로 창출한 성과)
응모기관이 지식행정·지식경영 등 지식관리를
활용하여 과거에 성과가 낮던 정책이나 사업을
성공적으로 전환한 성과 또는 조직환경의 변화에
대처하거나 위기를 극복한 성과로써 2022,2023년
동안에 가시화되었거나 발표된 성과.
5. 시상
1) 규모-대통령상 2점, 국무총리상 3점, 장관상 8점,
매경회장상 7점으로 시상합니다.
2) 상금-대통령상 각 200만 원, 총리상 각 100만 원
장관상 각 50만 원을 수여합니다.
3) 시상식-매일경제 주최 2023년 세계지식포럼
행사에서 개최합니다.
4) 기간- 2023년 9.12~14일
5) 장소-서울 신라호텔
▲ 추진절차
1. 공모
1) 기간-2023.7.3~7.31
2) 안내-대상기관에 공모 안내 및 행정안전부
누리집 등에 공지합니다.
행안부가 인터넷 행안부 대표 홈페이지와
혁신 24 등에 공지를 하고,
행정기관 및 공공기관에 공문으로 안내하며,
기업 관련 협회에 요청합니다.
또한 매일경제가 신문지면과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서 안내를 합니다.
2. 응모 및 접수
1) 응모기관-행정기관,공공기관·지방공기업,
민간기업
2) 작성방법-별첨 표준서식을 참고하되 일부 구성을
변경해서 작성을 해도 됩니다. 문의사항은
행정안전부 행정지도과(044-205-2251~2)로
문의를 하셔서 확인을 하시면 됩니다.
3) 제출방법-행정기관·공공기관은 정부업무망에서
'온 나라 문서' 시스템으로 제출을 하고,
해당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는 공공기관이나
민간기업은 인터넷에서 '문서 24'로
공문을 작성해' 행정안전부 행정지도과'로
제출을 하시면 됩니다.
* 문서 24: https://docu.gdoc.go.kr/index.do
문서24
docu.gdoc.go.kr
온라인 공문 제출이 힘든 경우에는 전자우편으로
purity9737@korea.kr 또는
jmlee7@korea.kr으로
관련자료를 작성해서 송부하시면 됩니다.
3. 예비검토
1) 기간-8월 1일~4일
2) 주체-행정안전부 행정제 도과 담당자
3) 대상-모든 응모작
4) 방식-응모된 자료가 갖추어야 할 요건을
갖추었는지 점검 및 검토
4. 전문가 검토
1) 기간-8월 5일~11일
2) 주체-제12회 대한민국 지식대상 심사위원회
3) 대상-예비검토를 통과한 응모작
4) 방식-위원들이 심사한 결과를 집계하고,
이를 토대로 심사위원회 논의를 통해서
시상규모의 1.5배~2배인 30~40개를 선정합니다.
5) 심사기준-어떤 성과를 창출했는지, 언제 성과가
가시화가 되어서 발표가 되었는지,
어떤 지식을활용하여 그 성과를 창출했는지,
조직에서 지식이잘 활용되도록
어떤 활동을 지원하고 있는지,
그 지식을 어떻게 수집하고 생산하고
관리하고 있는지 를 중점으로 해서
심사를 하게 됩니다.
6) 결과-응모한 기관에 개별적으로 안내합니다.
5. 공개검증
1) 기간-8월 19일~9월 3일
2) 대상-전문사 심사를 통과한 응모작
3) 방식-인터넷 '대한민국 상훈', '혁신24'등의
홈페이지에 공개를 해서 15일 이상
사전공개검증의 필수내용을 거쳐서
공개검증을 하게 됩니다.
6. 국민심사
1) 기간-8월 19일~8월 30일
2) 대상-전문사 심사를 통과한 응모작
3) 방식-인터넷 '온국민소통'에서 온라인 투표로
득표수를 점수화하여 최종순위를 결정하는데
반영응 해서 결정을 합니다.
7. 순위결정
1) 기간-9월 초
2) 주체-제12회 대한민국 지식대상 심사위원회
3) 대상-공개검증 및 국민심사를 거친 응모작
4) 공개검증에서 문제가 발견되지 않고,
전무가와 국민으로부터 높은 점수를 받은 응모작에
대해 수장작 및 훈격을 결정합니다.
8. 선정결과 발표
1) 기간-9월 초
2) 방식-수상기관에 개별적으로 통보를 하고
시상식 개최와 함께 발표를 합니다.
올해로 12회를 맞은 대한민국 지식대상 공모와
그 내용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작은 회사에서부터 공공기관에 이르기까지
뼈를 깎는 노력을 통해서 많은 성과와
그 결과가 가시화가 되어 해당 기업에
국한되지 않고,대한민국에 있는 많은 기업과
관련 기관들이 벤치마킹 등을 통해서 더욱더
발전되고 앞서가는데 많은 기여를 하는
대한민국 지식대상에 많은 참여와 관심으로
좀 더 많은 혁신적이고 발전된 기업들이
더 많이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끝-
'knowledge &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하반기 빈일자리 해소방안 정책 (1) | 2023.07.22 |
---|---|
특별재난지역 혜택과 내용 (2) | 2023.07.19 |
청년 복지포인트 (4) | 2023.07.17 |
바캉스 뜻 (5) | 2023.07.16 |
초파리(날파리) 없애는 끝장 방법 (0) | 2023.07.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