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nowledge & news

초파리(날파리) 없애는 끝장 방법

by 40대 아재 2023. 7. 15.
반응형

'초파리(날파리)'는 더워지는 여름철이 되면

더욱더 극성으로 우리들을 성가시게 하는

파리목 초파리과에 속하는 파리입니다.

오늘은 초파리(날파리) 없애는 끝장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40대 중년아재입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세계에는 약 3,000종이 넘는 초파리가 있습니다.

요즘같이 더워지는 여름에 음식물쓰레기나

과일, 음식등에 어김없이 나타나는 꽤 귀찮고,

없애고 싶은 파리입니다.

초파리는 작고 검은색이 특징인데, 크기가 작아서

눈에 띄어도 잡기도 힘들고 워낙 빠르기도 합니다.

그리고 상당히 번식력이 좋기 때문에 한번 생기면

수천 마리로 늘어나는 건 시간문제죠.

 

초파리(날파리) 그림

그럼 초파리(날파리)가 생기는 이유는 뭘까요?

초파리(날파리)는 식초나 과일 등 당이나,

산성 음식물이 상하면서 생기는 달콤하고 새콤한

냄새를 아주 좋아합니다.

여름에는 음식들이 쉽게 상하는데요. 

이로 인해 이런 상한 음식들로 인해 더욱더

초파리(날파리)가 발생을 많이 합니다.

 

그럼 초파리(날파리) 없애는 끝장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초파리(날파리)를 생기지 않게 하는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1. 초파리(날파리)가 생기는 환경 만들지 않기

 

초파리(날파리)는 음식물이 상하면서 생기는

달콤하고 새콤한 냄새를 좋아하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는 바로바로 버리는 것이 좋습니다.

초파리는 후각이 매우 뛰어나서,

1km 이상의 거리에서 냄새를 맡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가정집에서 생기는 이런 냄새를 초파리(날파리)가

놓칠 수 없는 이유겠지요.

 

 

 

 

 

그리고 초파리는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창문 방충망 틈새로 들어오는 경우도 많습니다.

후각이 뛰어난 초파리(날파리)가 방충망 틈새로

멀리서도 올 수 있기 때문에 혹시라도 찢어진

방충망이 있다면 보수를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통은 자주 세척하는 것이

초파리(날파리)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죠.

또한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지 못하는 상황에서는

냉동실에 얼리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밀봉을 잘해서 냉장고에 보관하는 것도

좋은 방법 중 하나입니다.

그리고 싱크대 배수구 등을 자주 청소해 주고,

먹은 음식쓰레기는 바로 치우는 것이 좋습니다.

 

초파리(날파리) 사진

 

2. 하수구 청소하기

 

초파리(날파리)는 싱크대, 화장실, 베란다 등에

있는 배수구에 알을 낳아 번식을 합니다.

하수구에는 각종 유기물이 달려있기 때문에

그 부분을 끓는 물과 세제로 살균을 하는 것이

아주 좋은 방법 중 하나인데요.

일주일에 한두 번쯤 끓는 물을 하수구에 부어

살균시켜 주는 것이 초파리(날파리) 번식과 

발생에 아주 좋은 방법이 됩니다.

 

흔한 초파리(날파리)종류들

 

3. 손쉬운 초파리 트랩 만들기와 설치

 

초파리(날파리) 트랩은 생활용품점에서도

쉽게 구할 수 있는데요.

만일 구입을 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쉽게 집에서도 초파리(날파리) 트랩을 간단히

만들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우선 페트병을 반으로 자른 다음 종이컵에

주방세제를 조금 넣은 후에 설탕과 물, 식초를

1:1:1의 비율로 섞어서 넣어줍니다.

그리고 그 위에 랩을 씌워서 초파리(날파리)가

들어갈 정도의 아주 작은 구멍을 이쑤시개등으로

내주시고, 초파리(날파리)가 자주 나타나는 곳에

두시면 그 안에 들어가서 나오지 못하게 되는

효과를 보실 수 있습니다.

 

가정에서 쉽게 만드는 초파리(날파리)트랩

 

4. 과일과 음식은 밀폐 또는 냉장고 보관

 

대형마트나 시장에 가시면 과일코너에 가면

유독 초파리(날파리)가 많은 것을 한 번쯤은

경험을 해보셨을 텐데요.

집안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과일은 초파리(날파리)가 아주 좋아하는 음식이죠.

그리고 초파리(날파리)를 발생시키는 아주 큰

원인 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될 수 있음 과일 등은 밀폐를 잘해서

냉장고에 보관하는 것이 초파리(날파리)를

생기지 않게 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5. 편백 치드, 모기향, 계피향 사용

 

사람이던 동물이던 싫어하는 것을 당하면

피하게 되는 것이 당연한 것이죠.

초파리(날파리)도 싫어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편백나무에서 만드는 편백 치드인데요.

편백향은 초파리(날파리)뿐만 아니라 벌레들이

대부분 싫어하는 것입니다.

한여름에 편백나무숲은 모기가 없는 것도 

바로 그 이유입니다.

생활용품점이나 관련 전문쇼핑몰등에서

편백 치드 스프레이는 쉽게 구할 수 있는데요.

음식물 쓰레기 주위나 초파리(날파리)가 자주

출몰하는 곳등에 뿌려주면 초파리(날파리)의

번식과 활동을 줄이거나 예방이 가능합니다.

 

편백나무 숲

 

그리고 초파리(날파리)는 곤충이기 때문에

모기향이나 계피향을 아주 싫어하는데요.

초파리는 호흡기가 굉장히 약합니다.

모기향에서 나오는 연기에 굉장히 취약하죠.

모기향이 요즘에는 냄새가 없는 제품도

많이 나오기는 하지만, 혹여나 냄새가 난다면

계피향도 좋은 대안이 됩니다.

또한 계피향은 집안에서 사용을 하게 되면

집안을 소독하는 효과도 덤으로 얻을 수 있죠.

 

 

6. 하수구 트랩 방충망 설치

 

앞에서 말씀드렸듯이 초파리(날파리)는

그 크기가 굉장히 작습니다.

2~3mm 정도의 크기이기 때문에 어지간한

방충망이나 공간은 통과해서 우리를 괴롭히죠.

요즘은 하수구 트랩이 굉장히 좋은 제품이 

많이 나와있어서 미세한 망을 통해서

하수구에서 자주 올라오는 초파리(날파리)등의

집안 침투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여기에 뜨거운 물을 종종 부어준다면

아주 좋은 효과를 보실 수 있을 겁니다.

 

초파리(날파리)를 잡아먹는 식물 파리지옥

 

7. 초파리 천적 식물 키우기

 

초파리가 싫어하는 천적 같은 식물이 있는데요.

대표적인 식물로는 '바질'이 있습니다.

초파리(날파리)는 허브류의 식물을

아주 극혐 합니다.

바질을 심은 화분을 실내에 놓아두면 초파리가

저희들을 괴롭히는 것을 상당히 억제할 수 있죠.

그리고 흔하지는 않지만 초파리를 잡아먹는 식물도

있는데요. 바로 '파리지옥'입니다.

이 식물은 말 그대로 파리를 잡아먹는 식물인데요.

싫어하는 허브류와 함께 초파리(날파리)가 가장

싫어하고 무서워하는 식물입니다.

 

 

8. 기타 방법

 

초파리(날파리)를 잡는 방법 중 와인을 이용해서

초파리(날파리)를 잡는 방법도 있는데요.

와인의 냄새를 무지하게 좋아하는

초파리(날파리)는 와인을 드신 후

손가락 반마디 정도의 양만 와인을 남겨서

초파리(날파리)가 자주 출몰하는 곳에

두시면 그곳에 들어간 후 빠져나오지 못합니다.

 

이와 비슷한 방법으로는 달콤한 탄산음료

페트병의 뚜껑에 작은 구멍을 내서

와인병으로 유인한  동일한 방법으로도

초파리(날파리)를 잡을 수 있죠.

 

빵을 만들 때 사용하는 이스트(효모)도

좋은 재료가 되기도 하는데요.

유리컵 절반 정도가 차도록 따뜻한 물을

부은 뒤에 설탕을 티스푼으로 한 스푼 넣고

이스트를 약간만 넣은 후에 잘 섞어서

안 쓰는 플라스틱 음료수통이나,

깊이가 조금 있는 곳에 부은 후에 랩핑을 해서

작은 구멍을 뚫어주면 초파리(날파리)가

이곳으로 날아와서 포집이 됩니다.

 

초파리(날파리)는 알에서 부화하는데

열흘 정도가 소요가 됩니다.

초파리(날파리)를 오늘 소개해 드린 방법으로

어느 정도 없앴더라도 부화하는데 걸리는 10일을

기준으로 다시 한번 발생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오늘 소개해 드린 방법은 총 20일 정도 하시면

아주 좋은 결과를 보실 수 있을 거라 생각이 됩니다.

초파리(날파리)를 없애고 예방하는 방법으로

쾌적하고 시원한 여름 나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끝-

 

 

 

반응형

'knowledge &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 복지포인트  (4) 2023.07.17
바캉스 뜻  (4) 2023.07.16
탈모에 좋고 나쁜 음식들  (4) 2023.07.14
빌런 유래  (3) 2023.07.13
한국 최초 브랜드 화장품  (2) 2023.07.1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