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nowledge & news

에너지캐시백-한전

by 40대 아재 2023. 6. 27.
반응형

에너지캐시백은 한전에서 2022년부터

도입된 전기절약을 위한 제도인데요.

높은 물가와 고정비로 구분되는 전기료를

아끼는 만큼 캐시백을 통해 지급받는

아주 좋은 제도입니다.

오늘은 한국전력에서 시행하는 에너지캐시백

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40대 중년아재입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사실 엄청나게 많은 분들의 관심으로

에너지캐시백 신청이 화재가 되었습니다.

이런 사실은 역설적으로 보면 고물가와

힘든 경계상황에서 조금이라도 아껴서

도움을 받고자 하는 서민들의 마음들이

그러한 상황을 만든 것이기도 합니다.

그럼 에너지캐시백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국전력의 에너지캐시백 홍보 포스터

 

1. 에너지캐시백 참여방법

 

주택용 에너지캐시백은 신청주소지와

주민등록 주소지가 일치하는 사용자로

주민등록표상 1인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많은 관심으로 올해 6월 7일부터는

온라인 신청이 가능하게 되었고,

방문신청은 7월 중에 전국에 있는 한전 지사

에서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포털사이트에서 '한전 에너지캐시백'을

검색한 후에 홈페이지로 접속해서 참여가

가능하고, 한전 고객센터인 ☎ 123으로

전화해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을

문자로 받을 수 있습니다.

 

1. 에너지캐시백 신청

 

에너지캐시백은 개별세대 주택용과,

공동주택 관리주체로 나 위어 신청하는데요.

주택용(가정용) 고객 중 신청 주소지에 

거주하는 것이 확인된 사용자로,

직전 2개년 사용전력량 중 최소 1개년의

사용전력량이 있는 경우 참여가 가능합니다.

 

신청방법 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온라인 신청은

 

이곳에서 신청을 하시면 됩니다.

우선 개별세대인지, 공동주택 관리주체인지

확인을 해서 먼저 신청하기를 하시면 되는데요.

캐시백이라는 금전적인 부분으로 돌려받는

제도이기 때문에 본인인증과 정보입력,

캐시백 가입을 한 후 신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만 14세 이상과 미만의 경우로

회원가입을 하시고 진행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에너지캐시백 신청에 관련해서

안내를 돕는 동영상이 있는데요.

PC로 보시는 경우에는

https://youtu.be/Clo2F9hKojE

그리고 모바일로 보시는 경우에는

https://youtu.be/bgk-kETFgNI

안내 동영상을 보시고 신청하시면 됩니다.

 

2. 에너지캐시백 산정방법

 

에너지캐시백은 전력량을 확인해서

캐시백을 산정하는데요.

총 3가지를 확인해서 캐시백 금액을

산정하여 돌려주고 있습니다.

 

1) 절감량(kwh)

과거 2개년 동일기간 평균 사용량에서

절감활동기간의 사용량을 뺀 량을 산정.

 

2) 절감률(%)

해당기간 절감량 ÷ 과거 2개년 동일기간

평균 사용량 x 100을 산정.

 

3) 참여자 평균절감률

동일 지역 참여자의 해당기간 절감량 합계를

동일 지역 참여자의 과거 2개년 동일기간

평균 사용량 합계로 나눈 값에서 100을 곱한 값.

 

* 과거 1개년 사용전력량만 있는 경우에는

1개년 사용전력량을 기준으로 산정합니다.

 

3. 에너지캐시백 지급기준

 

에너지캐시백의 지급기준은 두 가지인데요.

기본캐시백과 차등캐시백이 있습니다.

 

1) 기본캐시백

최소절감률 3%와 동일지역 참여자

평균절감률 이상을 달성한 경우, 절감량

1 kwh당 30원을 지급합니다.

단, 최대절감률 30% 한도로 지급하죠.

 

2) 차등캐시백

평균절감률과 상관없이 절감률을 5% 이상

달성을 할 경우에는 30%를 한도로 하여

절감률 구간별로 1 kwh당 30~70원을 차등

지급하는 방식입니다.

절감률 별 단가는 아래와 같습니다.

절감률별 단가 현황

 

4. 에너지캐시백 지급방법

 

에너지캐시백은 매월 기준에 따라 산정된

금액만큼 차월 전기요금에서 차감이 됩니다.

단, 캐시백 산정기간 중 주소지가 변경되거나,

해당 전기사용장소에 실거주를 하지 않을 경우

캐시백이 지급되지 않으니 유의하셔야 합니다.

 

지금까지는 개별주택으로 신청하는 방법이고,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같은 경우에는

개별주택과 그 내용이 거의 다 같으나

몇 가지 다른 점만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공동주택의 경우에는 해당 공동주택의

입주자 대표회의 또는 관리사무소에서

신청을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지급방법이 개별주택과 조금 다른데요.

개별주택이 전기요금에서 차감되어 청구되는

방식에서 공동주택은 신청대상의 계좌로

현금으로 지급이 됩니다.

그리고 절감량에 따른 금액이 다른데요.

 

공동주택 절감량별 캐시백 금액

 

우선 단위가 킬로와트에서 메가와트로 바뀌고

그 절감량에 따라 지급금액이 달라집니다.

 

이제 에너지 사용량이 일 년 중 가장 많은

여름철로 가고 있는 시점에서

전국적으로 전력량이 폭등이 예상이 되는데요.

나 하나쯤이야 하는 생각은 잠시 접어두고,

에너지를 절감해서 작게나마 도움도 받고,

환경을 위해 작은 도움을 주었다는 뿌듯함과,

에너지 부족사태가 나지 않도록 예방도 되는

에너지캐시백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가해서

의미 있고 캐시백도 받는 에너지캐시백을

신청하는 건 어떨까요?

 

-끝-

반응형

'knowledge &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미콘이 영어 약자라고?  (5) 2023.06.29
로하드 증후군이란?  (4) 2023.06.28
역대 축구기록과 골 올림피코  (7) 2023.06.26
국민추천포상제도  (3) 2023.06.25
최초 주름빨대 발명  (4) 2023.06.2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