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nowledge & news

지역별 결혼,이혼 나이-남자,여자

by 40대 아재 2023. 11. 18.
반응형

우리 사회가 예전보다는 결혼에 대한 인식이

상당히 많이 변해서 결혼을 해야 한다는

의무감과 같은 인식에서 벗어나서 지금은

많은 젊은 사람들이 혼자 사는 것을 결정하고,

반대로 이혼과 재혼에 대한 인식들이

거부감 없이 생각들을 하는 시대에 살고 있죠.

오늘은 최근 통계청에서 발표한 지역별로

남녀 처음 결혼을 한 나이와 이혼을 한 나이,

그리고 마지막으로 재혼을 한 나이를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40대 중년아재입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행복한 결혼 그림

 

검은 머리가 흰 파뿌리가 될 정도로 서로를 위하고

사랑하면서 살아간다는 말은 한국 사람에게는

누구나 한번쯤은 듣게 되는 결혼식의 단골 멘트죠.

이렇게 결혼은 죽을 때까지 서로의 곁에서 자리를

지키며 죽을 때까지 함께 한다는 것이 결혼이죠.

결혼은 '남녀가 부부관계를 맺다'라는 뜻인데요.

이 말은 18세기부터 있었던 말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주 오래된 말인 것이죠.

예전에는 상투를 틀어야 어른이라는 말이 있었는데,

결혼을 해야 비로소 어른이 되고 어른 대접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가족을 이루는 가장 중요하고 선행되는 결혼은

예전 우리사회에서 가장 기본적인 사회조직이자

삶의 근간이 되는 가장 중요한 삶의 목적이자

행복인 가족을 이루는 기본적 행위였죠.

지금도 물론 가족에서 일어날 수 있는 가장 큰

행사 중 하나로 결혼은 유지되고 있죠.

 

이렇게 중요하고, 의무처럼 여겨온 결혼이

시대가 변함에 따라 조금씩 무뎌지고,

결혼을 해야한다는 강박관념이나, 부모에 

대한 불효라는 인식도 점점 약해지면서

일명 골드미스터, 골드미스 등의 말들로

결혼을 하는 연령을 지나 혼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는 실정이죠.

또한 가족을 이루고 아이를 가져 출산을

해서 아이를 키워나가는 환경과 상화이

점점 현실적으로 힘들어짐에 따라 갈 수록

기피하는 현상까지 겹쳐 수 년 전부터

사회적 문제로도 심각한 상태임은 분명하죠.

 

인생에서 가장 행복한 것 중 하나인 결혼

 

이런 결혼에 대한 인식이 바뀐 시대에서도

그래도 결혼을 꾸준히 이어지고 새로운

가족을 만들고 행복하게 살아가길 원하는

사람들이 더 많은 것은 사실이죠.

남자,여자 또는 지역마다 결혼을 하는

나이가 조금씩 다른 것을 통계를 통해서

알 수 있는데요. 최근 통계년도인 2022년을

기준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지역별 평균 초혼 연령

 

1) 전국 평균

* 남자-33.72세, 여자-31.36세

2) 서울특별시

* 남자-34.17세, 여자-32.15세

3) 부산광역시

* 남자-33.94세, 여자-31.67세

4) 대구광역시

* 남자-33.63세, 여자-31.22세

5) 인천광역시

* 남자-33.63세, 여자-31.29세

6) 광주광역시

* 남자-33.72세, 여자-31.10세

7) 대전광역시

* 남자-33.26세, 여자-30.89세

8) 울산광역시

* 남자-33.28세, 여자-30.79세

9) 세종특별자치시

* 남자-33.73세, 여자-31.41세

10) 경기도

* 남자-33.67세, 여자-31.33세

11) 강원도

* 남자-33.19세, 여자-30.83세

12) 충청북도

* 남자-33.17세, 여자-30.56세

13) 충청남도

* 남자-33.37세, 여자-30.57세

14) 전라북도

* 남자-33.75세, 여자-30.88세

15) 전라남도

* 남자-33.92세, 여자-30.81세

16) 경상북도

* 남자-33.57세, 여자-30.80세

17) 경상남도

* 남자-33.56세, 여자-30.94세

18) 제주특별자치도

* 남자-34.08세, 여자-31.76세

 

이 결과로 봤을 때 대한민국에서 가장

결혼을 늦게 하는 남자와 여자 모두

서울특별시로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특이하게도 충청북도가

전국에서 가장 결혼을 빨리 하는 지역으로

남자와 여자 모두 확인이 되었습니다.

 

그럼 이번에는 결혼의 반대인 이혼의

전국 지역적 남녀 연령에 대해서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지역별 평균 이혼 연령

 

1) 전국 평균

* 남자-49.91세, 여자-46.62세

2) 서울특별시

남자-51.65세여자-48.93세

3) 부산광역시

* 남자-51.21세, 여자-48.12세

4) 대구광역시

* 남자-50.24세, 여자-47.30세

5) 인천광역시

* 남자-49.43세, 여자-46.75세

6) 광주광역시

* 남자-48.93세, 여자-46.03세

7) 대전광역시

* 남자-48.90세, 여자-45.89세

8) 울산광역시

* 남자-49.31세, 여자-46.33세

9) 세종특별자치시

* 남자-47.90세, 여자-45.25세

10) 경기도

* 남자-49.40세, 여자-46.67세

11) 강원도

* 남자-49.95세, 여자-46.41세

12) 충청북도

* 남자-49.07세, 여자-45.46세

13) 충청남도

* 남자-49.03세, 여자-45.35세

14) 전라북도

* 남자-50.38세, 여자-46.22세

15) 전라남도

* 남자-50.60세, 여자-45.80세

16) 경상북도

* 남자-50.01세, 여자-46.09세

17) 경상남도

* 남자-49.55세, 여자-45.93세

18) 제주특별자치도

* 남자-49.04세, 여자-46.16세

 

지역별 평균 이혼 연령에 대한 통계도

꽤 흥미로운 결과가 나왔는데요.

가장 이혼 연령이 늦은 지역은 가장

초혼연령이 늦었던 서울특별시에서

남녀모두 가장 늦은 나이에 평균적으로

이혼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세종특별자치시가 남녀 모두 전국에서

가장 이른 나이에 이혼을 하는 것으로

통계청 결과에서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초혼을 한 연령에서 이혼을 한 연령을 보면

남자와 여자 모두 결혼 후 이혼을 하기까지

약 16년 정도의 시간이 흐른 후에 이혼을

하는 것으로 알 수가 있었습니다.

 

이혼관련 이미지

 

사실 많은 사람들의 관심과 서로의 사랑으로

많은 축하 속에서 결혼을 합니다.

그리고 불과 20년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국 모든 지역에서 평균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이혼을 한다는 것이죠.

아직 더 많은 사람들이 결혼 당시 그 마음으로

더 서로를 아끼며 행복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이

더 많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만일 아이가 있다면 그 아이가 성년이 되기 전

이혼을 한다는 사실에 안타까운 마음이 듭니다.

20년도 함께 하지 못하고 이혼을 한다는 것이

이번 통계를 통해서 알게된 놀라운 사실인데요.

30년 넘게 남으로 살다가 연애기간이 있지만,

서로 다른 살아가는 모습으로 살아가다가

함께 살다보면 분명 그로인해 다툼이나 작은

오해등으로 흔히 말하는 부부싸움이 생기죠.

그래도 연애기간이나 서로 애뜻한게 아끼던

그때의 설레임과 추억으로 힘든 시기 있어도

서로를 이해하고 아끼는 생각을 떠올리며

이겨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끝-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