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nowledge & news

자유의 여신상이 연녹색이 된 이유

by 40대 아재 2023. 8. 10.
반응형

자유의 나라인 미국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것 중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바로 '자유의 여신'이죠.

TV에서 보는 자유의 여신상의 색깔은 연녹색을 띤

조금은 오묘한 색으로 우리들은 알고 있는데요.

자유의 여신상이 연녹색이 된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40대 중년아재입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자유의 여신상의 모델이 된 여성과 얼굴

 

자유의 나라 미국에서 가장 자유에 대해서

잘 보여주고 있는 대표적인 상징물인

자유의 여신상은 많은 분들이 아시다시피

프랑스가 미국에 선물로 준 것입니다.

프랑스가 선물로 준 자유의 여신상은

프랑스의 대표적인 관광지이자 상징인

'에펠탑'을 만든 '귀스타프 에펠'이 설계한

세상에서 가장 유명한 동상 중 하나입니다.

 

 

 

에펠탑 이야기

프랑스 하면 생각나는 게 뭐냐고 묻는다면 대부분이 사람들은 '에펠탑'이라고 하죠. 그만큼 프랑스의 랜드마크 역할을 하면서 상징적인 에펠탑에는 유명한 관광지 외에 우리가 모르는 비밀들이

joongnyun4050.tistory.com

 

그럼 왜 프랑스는 미국에서 자유의 여신상을

선물을 했을까요?

1775년부터 1783년까지 이어진 독립전쟁에서

승리한 미국은 이후 100년 후인 1883년에

독립혁명 100주년을 기념했는데요.

이때 프랑스가 미국의 독립전쟁 승리와 독립을

축하하기 위해서 자유의 여신상을

선물한 것입니다. 정확한 명칭은

'Liberty Enlightening the World'로

'세계를 밝히는 자유'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에펠탑을 설계하고 내부 철재구조를 맡아서

자유의 여신상을 만든 건축가 귀스타프 에펠은

한 번에 운송이 어려운 이유로 인해서

겉면을 구성하는 구리동판을 300개 조각으로 

분해를 해서 미국에 운송 후 재조립을 하는 

4개월이라는 긴 시간 동안 이 작업을 진행했죠.

이때 조립을 하던 과정 중 자유의 여신상을

미국에 선물하려는 프랑스의 예산이 소진되어

신문 모금 캠페인을 통해서 돈을 모았습니다.

이때 신문 모금 캠페인을 주도한 사람이 

방송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퓰리쳐 상'의 

퓰리처 당시 기자였습니다.

그리고 자유의 여신상의 제작자 중 한 명인

'프레데리크 오귀스트 바르톨디'는

자유의 여신상 얼굴을 자신의 어머니를

모델로 해서  만들려 했으나,

오랫동안 같은 자세로 모델을 하기가 어려운

이유로 인해서 그의 어머니와

비슷한 모델을 찾아서 얼굴을 만드는데요.

실제로 그 모델과 결혼을 합니다.

 

자유의 여신상의 형태는 로마신화에 나오는

자유의 여신인 '리베릍스'를 나타냅니다.

머리에 왕관을 쓰고, 7개의 대륙을 상징하는

7개의 뿔이 달려 있습니다.

미국의 독립과 그로 인한 자유가 7대 대륙에

널리 퍼졌으면 하는 바람을 담은 것이죠.

높이가 46M이고, 무게는 225톤에 이르죠.

 

자유의 여신상 부위별 상세모습

 

그리고 자유의 여신상은 왼손에슨 책을 들고,

오른손은 횃불을 들고 있습니다.

책에는 미국의 독립기념일인 1776년 7월 4일이

로마자로 새겨져 있습니다.

그리고 높이 들고 있는 횃불은 세계를 밝히는

이성의 빛을 나타낸 것이죠.

그리고 자유의 여신상의 발 밑부분에는

쇠사슬을 밟고 있는데, 이것은 노예 해방을

표현하기 위한 의미입니다.

그리고 1984년에 자유의 여신상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가 되었죠.

 

자유의 여신상 책과 발 밑의 쇠사슬

 

그럼 자유의 여신상은 무슨색이였을까요?

지금처럼 연녹색이 원래 색깔 이었을까요? 

글 초반에 자유의 여신상을 미국에 가져올 때

겉면이 구리로 만들었다고 말씀을 드렸는데요.

구리는 사실 우리가 흔히 알다시피 연한 붉은색의

주황색이나 붉은색의 계열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자유의 여신상은 우리가 흔히 말하는

구릿빛 색깔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데요.

지금 우리가 아는 자유의 여신상은 연녹색이죠.

 

미국의 뉴욕에 있는 자유의 여신상 모습

 

이렇게 자유의 여신상이 색깔이 바뀐 이유는

화학적인 원리가 그 주된 이유입니다.

구리는 공기 중에서 서서히 산화를 하는데요.

공기를 닿기 전에는 붉은 색 계열의 주황색을

가지고 있지만, 산소와 접촉을 한 구리는

산화를 하면서 '산화구리'라는 이름으로 검게

그 색깔이 변하게 됩니다.

그리고 자유의 여신상이 위치해 있는 곳은

뉴욕시의 북대서양으로 향하는 바다 근처에

설치가 되어있습니다.

다량의 습기와 눈, 비를 맞은 자유의 여신상은

오랜 시간과 화학작용을 거쳐서 결국은

'탄산구리'라는 성분으로 바뀌게 됩니다.

탄산구리에서 산고와 수가가 날아가게 되면

탄산구리는 녹색으로 색깔이 변하게 됩니다.

 

화학작용으로 인해 색상이 변한 자유의 여신상

 

지금은 자유의 여신상이 연녹색이 아니라면

믿는 사람이 많지 않을 정도로 자유의 여신상은

연녹색이여만 할 정도로 당연하게 되었습니다.

원래의 색상인 구릿빛을 가진 자유의 여신상은

왠지 상상이나 잘 그려지지 않게 됩니다.

오늘은 자유의 여신상의 원래 색상과

지금의 색상으로 변한 이유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는데요.

자유의 여신상이 보여주는 자유는 모든 인류가

누구나 똑같은 조건으로 누릴 수 있는

보편적인 것임을 이번 기회에 다시 한번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끝-

 

반응형

'knowledge &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등대 색깔이 다른 이유  (1) 2023.08.12
분홍색 호수-힐리어 호수  (3) 2023.08.11
행운의 2달러 이야기  (2) 2023.08.06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KMAC  (4) 2023.08.05
한국 최초 사진사와 사진관  (2) 2023.08.0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