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nowledge & news

추석 송편 유래

by 40대 아재 2023. 9. 8.
반응형

이제 민족의 가장 큰 명절 중 하나인

'추석 한가위'가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추석 하면 떠오르는 음식이 '송편'인데요.

추석과 함께 송편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40대 중년아재입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음력으로 8월 15일인 '추석' 또는 '한가위'는

설날과 함께 가장 큰 명절 중 하나입니다.

한가위라고도 말을 하는데요.

한가위에서 ''은 크다라는 뜻을 의미하고,

한가위에서 '가위'는 가운데를 뜻합니다.

한가위는 '가배'라는 말에서 유래했는데요.

가배의 어원은 가운데라는 의미입니다.

가배라는 말은 '삼국사기'에서 처음 등장해서

1세기(서기 32년) 무렵인 신라 유리왕 9년

7월 16일부터 8월 보름까지

한 달에 걸쳐 온 나라의 6부의 여성들이 두 편으로

나뉘어 길쌈내기를 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이때 진 편은 이긴 편에게 술과 음식을 대접했고,

가무와 온갖 놀이로 재밌게 놀았는데요.

이를 가배라고 하는 기록이 남아있습니다.

 

추석에 먹는 송편

 

다른 나라에서 말하는 명절이름도 비슷한데요.

가운데를 뜻하는 '중추절'은 중국 명절이고,

추석을 한자 그대로 풀면 '가을 저녁'인데요.

미국의 '추수감사절'이 그런 뜻입니다.

그럼 오늘의 주제인 송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송편의 ''은 소나무를 말하는 것이고,

송편의 ''은 떡을 말하는 순우리말이죠.

다시 말해 솔잎로 찌는 떡이라는 것입니다.

떡을 찔 때 솔잎으로 떡을 찌게 되면 떡끼리

서로 붙지 않으며, 솔잎향이 떡에 스며들어서

송편의 맛을 더욱 맛있게 해 줍니다.

그리고 솔잎은 떡이 잘 상하지 않게 만드는

역할도 합니다.

 

송편의 원래이름은 '송병'이었습니다.

송편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대로 모양이

반달인 경우가 많은데요.

왜 송편은 모양이 반달모양일까요?

백제의 마지막왕인 의자왕 시절에

잠을 자다 깬 의자왕이 바깥에서 부는

바람소리가 이상해서 나와보게 됩니다.

이때 밤하늘에 이상한 도깨비불이 있었는데,

"백제가 망한다"라는 말을 하면서

마당 한 곳에 머물다가 없어지게 됩니다.

백제왕은 다음날 신하를 시켜 도깨비불이

사라진 그곳을 파보라고 명령을 하죠.

그곳에서는 등에 무언가 쓰여있는 거북이가

발견이 됩니다.

그리고 거북이 등에는 이렇게 쓰여 있었습니다.

'백제는 만월이요. 신라는 반달이다'

이 말이 궁금한 의자왕은 용한 점술가를 불러

이 말의 뜻이 무엇인지 말하라고 합니다.

그러자 그 점술가는 백제는 꽉 찬 만월이라

앞으로 점점 나라가 기울 것이며, 신라는

반달이라 점점 만월이 되어 번성한다는

해석을 의자왕에게 합니다.

 

솔잎과 함께 쪄서 만드는 송편

 

의자왕은 이 이야기를 듣고 화가 나서

그 점술가를 사형시키고 맙니다.

그리고 주위에 있던 신하들은 의자왕의

화를 풀기 위해서 그 점술가가 말한 정반대의

해석으로 의자왕에게 듣기 좋은 말을 하죠.

이 이야기는 이웃나라인 신라에까지 퍼져

처음 점술가가 말한 대로 반달인 신라가

앞으로 만월이 되길 바라는 마음에

반달모양의 떡을 만들면서 신라가 점점 더

번창하기를 빌기 시작했죠.

이후 이 반달모양의 송편이 현재 송편 모양의

유래가 되었다는 이야기입니다.

 

송편 유래에 나오는 의자왕 이야기속 거북이

 

우리나라는 한가위에 '송편'을 먹고,

중국은 중추절에 '월병'을 먹습니다.

그리고 일본도 '쓰키미단고'라는

떡을 먹는데, 이 말은 달을 보면서

먹는 떡이라는 말입니다.

모두에 공통적으로 들어있는 것은

바로 ''인 것이죠.

 

중국의 중추절이 자리 잡은 11세기보다

무려 1000년 먼저 생긴 우리의 명절인

추석은 굉장히 역사가 깊습니다.

추수감사의 의미와 전쟁이나 대회에서

이긴 기념으로도 먹었다는 송편은

한국의 대표 명절음식이자 소울음식이죠.

곧 다가올 추석 한가위에도 사랑하는 가족들과

맛있는 송편을 먹으면서 건강과 가족의 행복을

밝게 하늘에 뜰 보름달을 보면서 비는 즐거운

추석 한가위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끝-

 

 

 

반응형

'knowledge &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망하는 회사 특징과 망하지 않는 법  (2) 2023.09.10
태풍의 모든 것  (4) 2023.09.09
울릉공항과 이마스(EMAS)/노선/항공기  (32) 2023.09.07
높이의 기준-해발고도  (3) 2023.09.06
재밌는 불문율 1탄  (2) 2023.09.0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