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nowledge & news

2023 지원금 총정리-기초연금 생계급여 장애인 연금 등

by 40대 아재 2022. 12. 26.
반응형

2023년엔 기초연금과 생계급여액이
올해인 2022년보다 상승합니다.
오늘은 기초연금과 생계급여 그리고
장애인 연금과 장애수당 등에 대해
포스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40대 중년 아재입니다.
바로 시작 하겠습니다.


국민연금공단 한 지점

* 2023년 기초연금

- 322,000(32만 2천)원

내년 기초연금 수급액은 월 32만 2천원으로
올해보다 오른 금액으로 지급이 됩니다.
올해는 30만7천50원이었습니다.
만 65세 이상이며 소득 하위 70%에
해당이 되시는 분들에게 지급이 되는데요.
내년 기초연금에 해당하는 분들의 수가
올해 628만 명에서 665만 명으로 늘어납니다.

* 생계급여(저소득층) 기준

- 4인기준 월 1,620,000원 이하

생계급여 기준


그리고 저소득층에 지급되는 생계급여는
올해 급여기준인 4인기준으로 하면
월 소득 1,536,000원에서 소폭 오른
1,620,000원 이하로 이는 기준 중위소득의
30%를 기준으로 합니다.

인원별 중위소득 2022년 대비 2023년


받을 수 있는 급여액은 해당 기준금액과
가구소득의 차액만큼 이 지급이 됩니다.
예를 들어 소득이 아예 없다면
최대 162만289원을 받을 수 있죠.
올해인 2022년에 받을 수 있는 최대액은
154만원이었습니다.
정부는 원래 중위소득 30%인 현재의 기준을
35%까지 단계적으로 인상을 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 장애인 연금


18세~64세와 65세이상
그리고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에 따른 약간의
금액차이는 있지만 2023년부터
40만2,000원으로 인상됩니다.
올해에는 38만8,000원 이었죠.
그리고 여기에 소득이 있는 장애인에게
지급하는 장애수당은 현재 4만 원에서
6만 원으로 인상지급을 하게 됩니다.

* 위기청소년, 자립준비청년 지원금

보호자가 없거나 실질적인
보호를 받기가 어려운 위기청소년에 대한
생활지원금이 있는데요.
현재 월 최대 55만원에서 65만원 으로
인상하게 됩니다.
나이가 성인이 되어서 보육원등을 떠나게
되는 자립준비청년들에게는 현재 35만원에서
월 40만원으로 인상되어 자립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인상을 합니다.

2023년 기준소득 및 인원별 생계급여 최저보장액

*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생계급여와 함께 이루어지는 지원이 있는데요.
의료급여와 주거급여 그리고 교육급여가
그에 해당이 됩니다.
이 세가지도 생계급여와 같이 소득기준에 따라
기초생활수급자 조건에 해당이 되면서
지급을 받게 되는데요.

4인가족 기준
의료급여- 월 216만386원 이하
주거급여- 월 253만8453원 이하
교육급여- 월 270만482원 이하
위 조건이면 지원소득별 소득에서
해당금액을 뺀 금액이 지급이 됩니다.
단, 교육급여는 바우처로 지급됩니다.

의료급여 소득기준
주거급여 소득기준
교육급여 소득기준


그리고 이런 것들을 안다고 해서 신청방법을
모르면 안 되겠지요.
신청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신청지 - 본인 주민등록상 주소지 관할

읍면동사무소 또는 주민센터

🔶준비서류 - 사회복지서비스 및 급여제공 신청서,

금융정보 제공동의서, 통장사본, 신분증
(해당 신청지에 통장사본과 신분증 제외 비치됨)

🔶신청내용상세 - 복지로 홈페이지/129번 전화

https://www.bokjiro.go.kr/

https://www.bokjiro.go.kr/ssis-tbu/

www.bokjiro.go.kr




복지사업의 기준은 일반적으로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정하게 됩니다.
쉽게 말해 중위소득인 전체 인구의 중간쯤에
사는 사람이 이 정도 소득인데 그 보다 못하면
지원을 한다는 뜻이지요.
물론 여러 가지 재산과 기타 사항을 만족해야
해당 급여를 받을 수는 있겠지만
약자가 복지를 받는다는 기본개념에는
변함이 없는 거 같습니다.

우리가 내는 세금등으로 좀 더 낮은 곳에서
조금 힘들게 사시는 분들을 위해 하는
복지정책에 대해 언제나 환영하고
적극적 지지를 하고는 있지만
분명한 건 세 모녀 사건처럼
분명 알지 못하는 곳에서 도움을 애타게
기다리는 많은 사람들이 분명 복지사각지대에서
손을 뻗어주길 바라고 있을 겁니다.

얼마나 진정성 있게 사회적 약자와 복지약자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그런 복지정책이
꼭 필요한 곳, 꼭 필요하신 분들에게
작을 수독 있겠지만 그분들에게는 아주 큰
도움과 희망을 놓지 않을 수 있는 그런
도움이 되기를 다시 한번 바라봅니다.

-끝-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