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769

평균수명 연장시킨 1위 평균수명을 연장시킨 것들이 있습니다. 지난 150년 동안 의학분야에서 발생한 평균수명 연장의 업적을 묻는 설문조사에서 의학분야에서 예상한 답이 아닌 전혀 다른 분야의 것이 평균수명 연장에 큰 영향을 주었다는 결과가 나와서 오늘은 이 내용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40대 중년아재입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얼마 전 인류의 평균수명을 20년 넘게 연장시킨 '비누'에 대해서 포스팅을 했었는데요. 비누로 인한 위생적인 생활로 인해서 그만큼 인류의 평균수명이 늘어난 것이죠. 영국의 한 의학저널에서 인간의 평균수명 연장에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친 것에 대한 설문조사를 해서 그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평균수명을 연장시킨 가장 영향을 끼친 순위는 5위는 DNA의 발견이었고, 4위는 백신, .. 2023. 6. 19.
자른 식빵이 불법인 시대 자른 식빵이 불법인 시대가 있었습니다. 조금 어처구니가 없기는 하지만 사실이죠. 자른 식빵이 왜 불법이 되었는지 그 사실을 지금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40대 중년아재입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1943년 1월에 미국에서 이런 발표가 납니다. '지금부터 미국의 모든 빵 공장과 식품점, 제과점에서는 식빵을 잘라서 판매할 수 없다' 식빵을 그냥 파는 것은 되고, 잘라서 파는 것은 안된다는 조금 어처구니없는 이 발표는 당시 농무부 장관이자 전시 식품청 청장이었던 '클라우드 위카드'로 인해 시작되었습니다. 위카드 장관은 왜 이런 발표를 했을까요? 그건 바로 발표를 한 시점이 전쟁기간이였기 때문에 이런 내용을 발표를 한 것인데요. 1943년은 제2차 세계대전이 절정을 향해서 엄청나게 치열한 전투.. 2023. 6. 18.
역대 가장 뜨거운 6월 역대 가장 뜨거운 6월 중 최근인 2016년 6월이 가장 뜨거운 6월이었습니다. 그런데 이번 2023년 6월이 그 기록을 깨고 역대 가장 뜨거운 6월이 될 거라 예상하는데요. 오늘은 그 이야기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40대 중년아재입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이번 달이죠. 6월이 전 세계의 기온이 역대 최고 수준에 근접을 하면서 올해가 역대 가장 뜨거운 해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유럽연합 EU 기후변화 감시기구인 코페르니쿠스 기후변화서비스(C3S)의 발표를 인용해서 전한 내용은 이렇습니다. 올해 6월 들어서 지구 온난화 현상이 두드러지면서 전 세계 평균기온이 1979년 6월 이후 최고기온보다 1도가량 높다고 전했습니다. 산업화 이전 시대보다 무려 1.5도 높은 수준으로 산업.. 2023. 6. 17.
고종 황제 부인들 조선의 26대 왕이자 대한제국 1대 황제인 고종 황제는 우리가 아는 것보다 훨씬 많은 부인들이 있었는데요. 우리가 너무나 잘 아는 명성황후부터 성씨만 기록으로 남은 후궁들까지 그 이야기를 오늘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40대 중년아재입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 고종 황제의 부인들 1. 명성황후 조선왕조에서 중전이라 불리는 수많은 왕비 중 한 사람만 답을 하라고 한다면 대부분의 사람이 '명성황후'라고 답을 할 정도로 가장 많이 알려진 왕비입니다. '민비'라고 불렸던 명성황후의 이름은 '민자영'입니다. 1851년에 태어나 일본의 잔혹하고 비열한 '을미사변'으로 인해 1895년 43세의 나이로 사망을 한 비운의 왕비입니다. 왕비로 간택이 된 것은 다름 아닌 고종의 아버지인 '흥선대원군'의 명.. 2023. 6. 16.
단무지 역사와 이야기 '단무지'는 우리 식탁에서도 흔한 반찬이자 쉽게 접할 수 있는 음식입니다. 단무지는 어떤 역사를 가지고 있을까요? 오늘은 단무지 역사이야기를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40대 중년 아재입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우선 단무지는 일본에서 유래된 음식입니다. '타쿠안즈케'라고 불리기는 단무지는 절여서 만든 음식을 말하는 '츠케모노'의 일종으로 무를 절여서 만든 음식이죠. 한국에서는 자장면이나 짬뽕등의 중화요리를 먹을 때 가장 흔히 먹습니다. 우리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일본식 짠지'라고 말하는데요. 무를 소금과 쌀겨를 섞어서 땅에 묻어서 만드는 음식으로 알려져 있죠. 소금과 쌀겨를 섞어서 절여 만드는 음식이지만, 이런 전통적인 단무지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고, 초절임을 통한 제조를 통해 접.. 2023. 6. 15.
순우리말에서 유래한 독도 이름 '독도'는 순우리말에서 유래한 섬 이름입니다. 순우리말에서 유래한 독도 이름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40대 중년아재입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독도는 여러 상징적이고 외교적으로도 많은 의미가 있는 대한민국의 섬입니다. 대한민국의 가장 동쪽에 있는 섬이죠. 수많은 역사적 자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떤 인물의 쪽지에 쓰여있는 메모만으로 자신의 땅이라고 주장하는 일본이 있습니다. 과거 자신들이 지배했던 나라의 영토가 자신의 땅이라고 우기는 개념으로 한다면 과거 유럽을 지배했던 독일이나,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영토를 차지했었던 칭기즈칸이 독일이나, 몽골의 땅이라고 우기는 것과 다를게 하나 없는 억지 주장이죠. 독도가 대한민국의 영토라는 수많은 역사적 자료와 사실들과 더불어.. 2023. 6. 14.
코카콜라 숨겨진 비밀이야기 코카콜라는 숨겨진 비밀들이 있는데요. 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음료인 코카콜라엔 어떤 숨겨진 비밀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40대 중년아재입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코카콜라'는 매년 40조가 넘는 매출을 올리는 세계에서 가장 유명하고 많이 판매되는 1등 판매 음료입니다. 모르는 사람이 없는 코카콜라에는 여러 가지 재밌는 이야기와 숨겨진 비밀들이 있는데요.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코카콜라의 슬로건은 'Real Magic'입니다. 진짜 마법이라는 말인데요. TV에서 코카콜라의 CF를 보다 보면 마법과 같은 장면이 종종 나오는 걸 볼 수 있죠. 그게 코카콜라의 슬로건에서 이어진 내용입니다. 코카콜라의 정확한 풀네임 회사명은 'The Coca-Cola Company'입니다. 지금으로부.. 2023. 6. 13.
골프캐디 유래 이야기 '골프캐디'는 골프를 치는 사람에게 코스의 특징 설명하고, 공을 칠 방향이나, 거리등에 대해서 조언을 하는 사람을 말하죠. 골프 중 생기는 손상된 잔디도 흙주머니를 가지고 다지는 일과, 골프공이나 골프채의 이물질을 닦아주는 일도 하는 골프캐디는 어디에서 처음 유래가 되었을까요? 오늘은 현대 직업 중 하나이기도 하고, 골프가 소수의 운동에서 일반적인 대중운동으로 바뀐 요즘에는 골프캐디의 역할이 좀 더 중요하게 생각이 됩니다. 오늘은 골프캐디에 대한 이야기를 알아보는 포스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40대 중년아재입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요즘은 프로 골프선수가 우승을 하는 장면에서 자신의 캐디와 포옹을 하면서 우승의 기쁨을 나누는 경우를 쉽게 볼 수 있죠. 선수와 캐디가 가족인 경우도 많아졌고.. 2023. 6. 12.
오백원 이야기 오백 원은 현재 한국에서 동전 기준으로 가장 큰 금액을 가진 동전입니다. 오백 원이 여러 방송등을 통해서 희귀 동전이나 동전 재테크 등의 내용으로 여러 번 나와서 오백 원에 대한 이야기는 잘 알고 계실 텐데요. 지폐로 시작한 오백 원부터 오백 원에 대한 여러 이야기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40대 중년아재입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현재 한국 동전 중 맏형이죠. 오백 원 동전입니다. 맏형이라고 표현은 했지만, 요즘 물가나 사용에 그리 많이 사용되지는 못해서 맏형이나라는 표현이 조금은 부끄러워지기도 하는 오백 원입니다. 하지만, 한국에서 가장 큰 단위를 가진 동전임은 분명한 사실입니다. 사실 오백 원은 1952년에 지폐형태로 만들었습니다. 초대 이승만 대통령이 그려져 있었습니다. 이 오백 원.. 2023. 6. 11.
AI 디지털교과서 도입 'AI 디지털 교과서'로 1:1 맞춤교육을 위한 교육시대를 열기 위해 교육부는 지난 6월 8일 AI 디지털교과서 추진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우리 교육에 많은 영향을 줄 예정인데요. 오늘은 이 내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40대 중년아재입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2023년 6월 8일 교육부는 모두를 위한 맞춤교육의 실현을 위해서 'AI 디지털교과서 추진방안'을 발표하고 그 내용을 알렸습니다. 그 내용을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AI 디지털교과서는 3개 교육개혁의 과제인 디지털 교육혁신의 일환으로 추진되는데요. 2025년 수학, 영어, 국어(특수교육) 교과에 우선 도입한 후 2028년까지 국어, 사회, 역사, 과학, 기술·가정 등으로 확대될 예정입니다. AI 디지털 교과서는 학생 .. 2023. 6. 10.
스트로베리 문(Stawberry Moon) '스트로베리 문'은 말 그대로 '딸기 달' 이라는 뜻으로 불리는데요. 예전 미국에 살던 원주민들은 계절을 파악하기 위해서 각 달마다 보이는 보름달에 이름을 붙여서 불러왔다고 전해지는데요. 오늘은 스트로베리 문과 함께 각 달 별 이름과 그 뜻을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40대 중년아재입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얼마 전이었죠. 6월 4일 일요일에 한국위치로 가장 크고 잘 보이는 스트로베리 문이 하늘에 나타났었습니다. 시간으로는 오후 12시 42분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번 6월에 뜬 보름달을 원주민들은 스트로베리 문이라고 불렀는데요. 그 이유는 매년 6월이면 야생딸기의 풍년을 기원하면서 그렇게 이름을 지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딸기색을 띤 달이라는 이름의 스트로베리 문이 된 것이죠. .. 2023. 6. 9.
비누 유래 이야기 비누의 유래는 어디서 왔을까요? 비누는 외래어나 한자가 아닙니다. 바로 한국의 순우리말입니다. 오늘은 아주 흔하지만 굉장히 오래된 비누에 대한 유래와 이야기를 알아보는 포스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40대 중년아재입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비누는 영어로는 'Soap'이고 우리말로는 비누라고 불립니다. 비누의 어원은 조선시대로 올라가는데요. 조선시대에 콩이나 팥, 녹두등을 갈아서 가루로 쓰거나 빨래를 할 때 비벼서 사용했죠. 이 당시에는 '비누'를 '비노'라고 불렀습니다. 이 비노가 음운 변동을 오랜 시간 거치면서 오늘날 우리가 말하는 비누가 된 것이죠. 비누는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염을 주성분으로 물에 녹으면 거품이 일어나고 미끄러운 몸 또는 세탁등에 사용하는 세정제입니다. 그럼 비누는 언제.. 2023. 6. 8.
반응형